아이가 축농증? 병원 가기 전에 집에서 확인하는 5가지 방법

제임스가 축농증 진단을 받기 전까지, 저 역시 그냥 감기가 오래 가는 줄로만 알았습니다.

하지만 콧물이 끈적하고 기침이 길어지면서 뭔가 이상하다는 느낌을 받았고, 결국 이비인후과에서 ‘부비동염(축농증)’ 진단을 받게 되었죠.

오늘은 아이 축농증, 병원 가기 전에 집에서 확인할 수 있는 5가지 체크 포인트를 공유드릴게요.

1. 콧물 색깔이 누렇거나 초록빛이다

일반 감기일 경우 콧물은 맑고 묽은 상태가 대부분입니다.
하지만 축농증은 점액이 섞인 진하고 누런 콧물이 오래 지속됩니다. ✔ 확인 팁:

  • 휴지로 닦은 콧물이 누렇거나 연두색이다
  • 콧물이 늘 코 안에 머물러 있어 코 막힘이 심하다

2. 아침에 기침이 유독 심하다 (후비루 증상)

아이들이 아침마다 목에서 뭔가 내려오는 느낌으로 기침을 한다면 ‘후비루(콧물이 목으로 넘어감)’ 증상을 의심해야 합니다.
✔ 확인 팁:

  • 자고 일어난 직후 잦은 기침
  • 기침이 마른 기침보단 헛기침 느낌
  • 잠잘 때 입 벌리고 자는 경향 증가

※ 제임스도 자고 일어나면 바로 “목에 뭐가 있어”라고 말했어요.

3. 감기약을 먹어도 증상이 1~2주 이상 지속된다

일반적인 감기 증상은 보통 3~5일 이내 완화되는데요, 감기약을 먹었는데도 콧물과 기침이 1~2주 이상 계속되면 축농증 가능성이 있습니다.
✔ 확인 팁:

  • 열은 없지만 콧물·기침만 계속됨
  • 콧물 색깔이 변하지 않거나 점점 진해짐
  • 낮보다 밤에 증상이 심해짐

4. 아이 입에서 냄새가 나고 입맛이 없다

축농증이 심해지면 코와 입이 연결된 통로에 염증이 생기고, 세균 증식으로 인해 입 냄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또한 냄새를 잘 못 맡게 되면서 식욕도 줄어들 수 있어요. ✔ 확인 팁:

  • 양치 후에도 입 냄새가 난다
  • 좋아하던 음식도 남긴다

5. 얼굴 양쪽 눈 밑(볼 옆)이 붓거나 눌렀을 때 아파한다

축농증은 부비동(코 옆 볼 부위) 내부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라, 심할 경우 코 양 옆 볼 부위가 붓거나 민감해질 수 있습니다.

✔ 확인 팁:

  • 양쪽 눈 밑이나 코 옆을 누르면 “아야” 하고 반응한다
  • 한쪽 얼굴만 붓는 경우도 있음

※ 이 증상이 나타났다면 즉시 이비인후과 진료가 필요합니다!

📌 비염과 축농증의 간단한 차이 정리

구분 비염 축농증
원인 알레르기, 먼지 등 자극 세균·바이러스 감염
콧물 맑고 투명 진하고 누렇거나 연두색
기침 거의 없음 후비루로 인한 헛기침
치료 항히스타민, 알레르기 관리 항생제, 흡입기, 세척 등

✅ 마무리 – 축농증, 부모가 먼저 눈치채면 치료도 빨라집니다

아이들은 불편함을 정확히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에, 부모가 증상 변화를 관찰하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.

제임스도 초기에 감기로 넘겼다가 축농증으로 발전해 코흡입기와 항생제를 쓰게 됐습니다.
다행히 초기에 관리 시작해서 2주 안에 많이 호전되었고, 지금은 코세척과 흡입기를 생활화하고 있습니다 😊